상품 안내 및 환불, 교환, 배송문의 | |
- 가게 전화번호 : | 1544-1900 |
- 전화문의 시간 :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매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공휴일 제외) |
- 가게 이메일 : | ink@kyobobook.co.kr |
- 이용 택배회사 : | CJ대한통운 |
판매가게정보 |
|
- 사업자명 : | (주)교보문고 |
- 사업자등록번호 : | 102-81-11670 |
- 통신판매업신고 : | 01-0653 |
- 현금영수증 : 발급가능 |
|
전화주문 및 결제문의 |
|
- 꽃피는 아침마을 : | 1644-8422 |
가게와 직거래를 하시면 꽃송이 적립 및 각종 혜택에서 제외되고, 만일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꽃마의 도움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가게의 부당한 요구, 불공정 행위 등에 대해서도 꽃마로 직접 전화주세요. |
상세정보 | 구매후기 (0) | 상품 Q&A (0) | 배송/교환/환불 안내 |
책소개2025년 04월 11일 출간 | ISBN : 1198984848 | 372쪽
상세이미지![]() 목차작가의 말
1부
연암 문학의 현재성과 생태정신
1장 18세기와 21세기, 재현과 진실의 가능성
18세기와 21세기, 재현과 진실의 가능성
재현의 위기와 연암 박지원
지금 세계의 재현과 진실의 가능성
언어의 한계와 재현 가능성
주체의 한계와 진실의 가능성
18세기와 21세기, 재현의 비전
2장 연암 문학에 나타난 창조적 사유
실제를 은폐하는 문자에 대한 회의
존재의 평등에 입각한 주변의 중심화
색(色)과 빛[光]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광명안(光明眼)
새로운 세계를 탐구해 간 경계인
3장 모방이냐, 창조냐? 용사(用事)와 패러디
패러디와 용사의 관계
연암 산문의 용사 시학(詩學)
연암 산문의 용사와 패러디
· 짜깁기로 변용하기
· 장황하게 늘이기
· 문맥 속에서 전도시키기
원전의 권위를 조롱하는 패러디 정신
4장 물리적 공간에서 실존 체험으로, 장소의 발견
연암의 공간 인식
사행(使行) 공간과 장소의 발견
· 변방의 중심화, 책문(柵門)
· 자유와 해방의 울음터, 요동 벌판
· 도그마의 해체, 황금대(黃金臺)
· 도시 감수성의 체험, 유리창(琉璃廠)
· 장소애(場所愛)의 발현, 고북구(古北口)
· 허구와 진실의 교직 공간, 옥갑(玉匣)
진정한 장소 경험의 조건
5장 연암 문학 연구의 새로운 향방
연암 문학의 새로운 향방
·연암 산문의 방향성
·《열하일기》의 방향성
연암 산문의 부활을 위하여
6장 21세기 문명과 연암의 생태정신
21세기 문명의 위기와 박지원
연암의 생태정신
· 매미 소리가 시 읊는 소리다
· 흑룡은 말똥을 비웃지 않는다
· 명심(冥心), 마음으로 보라
관계의 생태학을 위해
7장 이용후생론(利用厚生論)의 미적 기반과 생태적 가치
이용후생론(利用厚生論)에 나타난 미적 기반
·자연 사물의 본성 존중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심미 태도
·준수통변(遵守通變)의 균형 정신
이용후생의 현재 의미
2부 연암과 실학 정신
이용후생의 참된 뜻
이용후생의 미적 기반
북학(北學)의 탄생
실학의 두 별, 연암과 다산
연암과 다산, 천자문을 의심하다
연암과 다산, 열녀를 말하다
법고창신(法古創新)과 대대(對待)의 논리 디케의 여신과 명심(冥心)의 정신
21세기 실학의 방향과 생태정신
실학 비판에 대한 변증(辨證)
실학 비판에 대한 변증(辨證): 실학과 대대(對待)의 논리 작은 존재를 애호한 연암의 생명 윤리
찾아보기
수록 글의 출전과 제목
참고문헌
주
책속으로연암을 공부한 지 30년이 흘렀다. 그의 글은 언제나 흥미로웠지만 동시에 너무 미묘하고 어려워서 깊이 있는 해석을 위해 현대 철학이론은 물론 역사서와 미학, 심리학 저술까지 뒤져가며 지식의 폭을 넓혀가야 했다. 늦은 밤에 우두커니 앉아 사색하고 고민해도 한 줄도 나가지 못하던 날들은 얼마나 많았던가. 《열하 일기》의 발자취를 따라 열하 현장을 여러 번 답사하기도 했고, 그 활동지를 찾아 함양과 면천을 여러 차례 다녀갔다. 어느 사이 연암은 단순한 연구 대상을 넘어 삶의 동반자가 되었고 때로는 스승이 되었으며, 때로는 상담가가 되어 주었다. 그의 작품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보는 법을 배웠고, 더 깊이 사고하는 법을 익혔으며, 더 자유롭게 상상하는 능력을 길렀다.
-작가의 말 中에서 참된 독서는 방 안에 틀어박혀 눈으로 읽는 데 있지 않다. 사물을 입으로 맛보고, 귀로 들으며, 마음으로 이해하는 전 감각의 체험에 있다. 일상 사물의 문심(文心)을 읽어내고 그 이치를 발견하면 된다. 낡은 언어 기호에 갇히지 말고 직접 사물에 나아가 그 생생함을 세심하게 들여다볼 때 참됨을 얻는다. 이것이 연암이 추구한 새로운 언어관이다. -언어의 한계와 재현 가능성 中에서 한편에서만 보면 진실은 드러나지 않는다. 오리의 세계에서 살면 학의 긴 다리가 위태로워 보이고 학의 세계에서 살면 오리의 다리는 너무 짧아 보인다. 참되고 올바른 견해는 ‘옳다, 그르다’라는 시비의 가운데를 꼼꼼히 살필 때 드러난다. 세계의 진실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려면 한편의 입장에 서서 는 안 되며 양편을 자세히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사물의 참모습은 어디에서 보느냐에 따라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연암이 말한 평등한 눈[平等眼]을 갖는다는 것은 한편이 아닌 양편을 보고 일부가 아닌 전체를 보며 이쪽과 저쪽의 사이(경계)를 유심히 살피는 것이다. -주체의 한계와 진실의 가능성 中에서 연암이 최고의 문학적 성취를 이룬 바탕에는 문자와 지식을 기존과 다르게 보는 특별한 생각이 있다. 연암은 오늘날의 문자는 진리를 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진정한 책은 내 눈앞의 자연 사물이고 지금 이곳의 현장이다. 따라서 자연 사물이라는 원본을 잘 관찰하는 행위가 제대로 된 책 읽기다. 연암의 글이 읽을 때마다 새롭게 읽히는 것은 그의 글이 자연 사물을 닮은 데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자연과 같이 이를 담아낸 연암의 글 또한 다채로운 빛깔로 빛나며 늘 새롭게 읽힌다. 연암의 창조적 사유는 과거의 지식을 담은 낡은 문자를 거부하고 지금 눈앞의 현실과 사물을 읽는 데서 출발한다. -실제를 은폐하는 문자에 대한 회의 中에서 연암은 사람들의 눈은 선입견과 고정관념에 갇혀 있다고 말한다. 세상은 혼돈되고 뒤죽박죽이므로 피상적으로 보면 진실을 볼 수 없다. 아니, 그보다 더 큰 잘못은 보지도 않고 판단 하는 선입견이며, 세상을 한 가지 색으로만 가두는 태도다. 연암은 보는 자가 스스로 속는 것이므로, 제대로 보는 눈을 지녀야 한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명심(冥心)을 해야 한다. 명심(冥心)은 보이는 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눈을 감고 이면(裏面)의 본질을 보는 것이다. 특정한 편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자리, 공평한 자리에서 보는 것이다. -색色과 빛[光]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광명안(光明眼) 中에서 연암은 지금 여기의 세상이 왜곡과 허위로 가득하며 많이 모순되었다고 생각한다. 조선 사람들이 좁은 땅에서 우물 안의 개구리로 살면서 단지 한 줌의 상투를 갖고 천하에서 제일인 양 뻐기며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잘못된 관습과 지배 이데올로기에 갇혀 자동화된 삶을 살아간다고 여긴다. 그리하여 우리에게 말한다.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믿지 말라. 기존의 가치 체계가 만든 관습과 통념을 아무 생각 없이 따르지 말라.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보기’를 하라. 한쪽의 외눈으로 보지 말고 복안(複眼)으로 보라. 눈을 감고 마음으로 보라. - 디케의 여신과 명심(冥心)의 정신 中에서 전 지구적인 환경파괴와 기후위기, 약자들에 대한 혐오와 기피, 공동체의 해체와 균열 등의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인류가 세계대전과 냉전시대를 겪으며 어렵사리 얻어낸 상생과 협력의 가치가 무너지고, 각자도생의 치열한 경쟁이 일상화되고 있다. 각종 파괴와 차별을 극복하고 인류 보편의 생명, 인권, 생태, 상생, 다양성 등의 가치를 회복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연암의 사유가 이러한 문제의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답을 들려주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연암의 사유가 국소적인 차원을 넘어 범보편적이고 인류애적인 가치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 연암 문학의 새로운 향방 中에서 연암은 쓸모없고 하찮은 사물도 미적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사물은 그 자체로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다. 관계와 조건에 따라 존재성은 바뀐다. 형식을 바꾸어 주면 내용물이 새롭게 인식되고 환경과 조건을 달리하면 같은 사물에 대해서도 다른 미적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무용한 것과 유용한 것은 조건과 상황을 달리해주면 서로 교환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연암에게 진짜로 쓸모없는 것은 사물을 이롭게 쓰지 못하고 그대로 방치하는 것이다. 곧 이용후생의 미적 의미는 애초부터 쓸모없는 존재는 없으며, 어떤 사물이든 알맞은 자리에 놓이면 쓸모 있게 된다는 것이다. - 이용후생론(利用厚生論)에 나타난 미적 기반 中에서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모든 생명체는 하나의 근원에서 나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비록 생태학이 서구에서 출발했다고 하더라도 생태정신의 본질은 불교와 도교 등 동양 정신에 잘 담겨 있었으며 그렇기에 생태 문제를 동양 정신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중에도 하필 실학의 생태정신을 주목하는 까닭은 실학자의 생명과 자연에 대한 시선이 문명과 사회에 대한 깊은 성찰 속에서 드러난 데 있다. 이는 반문명과 욕망의 제어를 지향하는 동양의 전통 사상과는 결을 달리한다. 고전 시대의 성리학자들이 자연을 조화와 질서의 공간으로 이해했다면 연암은 창조와 변화의 장(場)으로 바라본다. 연암의 생태정신은 현실주의 및 문명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기에 지금 이곳에서도 실질적인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 21세기 실학의 방향과 생태정신 中에서 연암의 작은 존재에 대한 사랑은 단순한 자연 보호나 동물 애호의 차원을 넘어,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반성하고 생명 그 자체를 존중하는 깊은 통찰과 연결된다. 또한 그가 보여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존재를 향한 관심은 현대 사회의 불평등 과 차별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준다. 작은 존재를 대하는 연암의 시좌는 우리에게 인간과 자연, 그리고 모든 생명체 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철학적, 윤리적 기반을 제공한다. 나아가 성호의 〈관물편(觀物篇)〉에 보이는 작은 미물들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 담헌의 〈의산문답(醫山問答)〉에 나타난 인물균(人物均) 정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다산의 따뜻한 연민을 아울러 곱씹어 볼 때, 자본과 기술 앞에서 정녕 놓치지 말아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작은 존재를 애호한 연암의 생명 윤리 中에서 출판사 서평왜 다시, 연암인가?
연암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두 가지 열쇠말은 ‘경계인’과 ‘보기’다. 연암은 유학자였음에도 불교와 도가(道家), 심지어 서학까지 아우르며 새로운 세계를 개척해 나갔다. 그는 낡은 전통과 특정 사상에 갇히지 않고 객관적인 진실의 자리에 서서 지식 사회의 관습과 규범에 도전했다. 제3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상층과 하층, 아름다움과 추함, 조선과 중국, 법고와 창신 등 양쪽의 세계를 오가며 서로 소통하고자 애썼다. 연암은 이편과 저편을 가로지르며 상생(相生)의 길을 찾아 나선 경계인이었다.
연암은 인간이 잘못된 판단을 하고 편견을 갖는 근본 이유가 본 것이 적은 데 있다고 말한다. 조선 사람들이 좁은 땅에서 태어나 잘못된 관습과 지배 이데올로기에 갇혀 자동화된 삶을 살아간다고 여겼다. 그리하여 연암은 ‘제대로 보라’고 말한다. 기존의 관습과 통념을 맹목적으로 따라가지 말고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보라고 말한다. 한쪽의 눈으로만 보지 말고 복안(複眼)으로 보라고 말한다. 표면만 보지 말고 본질을 꿰뚫어, 보이지 않는 면을 보는 눈을 지녀야 한다고 말한다.
연암 문학의 남다른 가치는 기존 지식과 권위에 대한 비판, 현실과 사물의 직접 관찰, 하찮은 것 속에서 본질을 찾는 태도,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사유의 깊이에 있다. 연암 문학에는 생각의 틀을 깨고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만드는 힘이 있다. 대립 속에서 갈 길을 잃고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연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새로운 질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던
연암 박지원 문학의 창조성과 생태정신
《연암, 경계에서 보다》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연암 문학을 현대 이론과 연결해 연암의 현재성과 창조적 정신을 살펴보았다. 연암의 문학이 오늘날의 이론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그의 창조적이고 생태적인 생각이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와는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탐색했다.
2부에서는 연암의 법고창신(法古創新)과 대대(對待)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법고창신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편을 배척하기보다는 장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다. 또한 북학(北學)의 탄생 배경을 중화사상과 화이론의 맥락에서 접근했으며, 연암과 다산의 공통점과 차이에 대해 비교하고, 명심(冥心)과 디케의 정신과의 연관성을 이야기했다. 더 나아가 실학을 비판하는 논리에 대해 변증했으며 실학의 생태정신과 그 현대적 의의 등을 살폈다.
연암의 생태정신에서는 21세기 현실에서 연암의 생태정신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암은 자연을 살아 움직이며 변화하는 존재로 바라보았다. 연암은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의 소리와 몸짓이 곧 문학과 예술이 된다고 생각했다.
연암의 이용후생론에서는 이용후생이 단순한 경제적 이익과 기술적 발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문명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철학적·미적 기반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이야기했다. 이용후생은 개발과 보존이라는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 자연의 본질을 이해하고 존중하면서도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균형 잡힌 발전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와 개발 욕구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데 철학적 기반이 되어 준다.
저자는 30년간 연암과 더불어 살고 공부하며 그의 사상과 말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보는 법을 배우고 더 깊이 사고하는 법을 익혔으며, 더 자유롭게 상상하는 능력을 길렀다고 말한다. 우리 역시 경계인 연암의 삶과 문학의 여정을 통해 ‘상생(相生)’의 가치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쓸모없는 사람이 반드시 쓸모 있다
연암은 ‘범이든 사람이든 만물의 하나일 뿐’이므로 “범과 메뚜기, 누에와 벌, 개미는 사람과 함께 길러지는 것이니, 서로 어그러져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하여 자연을 공격과 파괴가 아닌 공존해야 할 대상으로 바라본다. 연암은 인간과 자연 사이에 차별을 두지 않았으며 모든 생명체가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자연과 동물에 대한 연암의 애정은 인간 사회의 위선과 차별에 대한 비판과 연결된다. 연암은 세상이 말하는 쓸모 있는 사람은 반드시 쓸모없는 사람이며, 세상에서 말하는 쓸모없는 사람은 반드시 쓸모 있는 사람이라고 하여 기존 사회의 가치 판단을 뒤엎고 사회에서 낮잡아 불리는 존재들이 오히려 중요한 가치를 지닌 사람들임을 말한다. 그리하여 거지와 비렁뱅이, 똥 푸는 사람 등 사회가 하찮게 여기는 사람들과 가까이하며 그들로부터 진실함을 배운다.
또한 그가 보여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존재를 향한 관심은 현대 사회의 불평등과 차별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작은 존재를 대하는 연암의 철학은 우리에게 인간과 자연, 그리고 모든 생명체 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철학적, 윤리적 기반을 제시한다.
연암은 닫힌 세상을 온몸으로 통과하며 우리가 자본, 권력 앞에서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할 인간 본연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되묻는다. 그 물음을 이제 우리가 되짚어봐야 할 것이다. 그가 평생을 일군 ‘쓸모없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모든 존재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삶을 영위해 간다’는 생각이 우리를 현재로, 미래로 이끌어 줄 것이다. |
교환 및 환불 가능 |
상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
1) 상품이 표시/광고된 내용과 다르거나 불량(부패, 변질, 파손, 표기오류, 이물혼입, 중량미달)이 발생한 경우 -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 수령일 다음날까지 신청 - 기타 상품 : 수령일로부터 30일 이내, 그 사실을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2) 교환 및 환불신청 시 판매자는 상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품의 문제 정도에 따라 재배송, 일부환불, 전체환불이 진행됩니다. 반품에 따른 비용은 판매자 부담이며 환불은 반품도착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완료됩니다. |
단순변심 및 주문착오의 경우 |
1)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재판매가 어려운 상품의 특성상, 교환 및 환불이 어렵습니다. 2) 화장품 피부 트러블 발생 시 전문의 진단서 및 소견서를 제출하시면 환불 가능합니다. 이 경우 제반비용은 소비자 부담이며, 배송비는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해당 화장품과 피부 트러블과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또는 질환치료 목적의 경우에는 진단서 발급비용을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3) 기타 상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신청, 왕복배송비는 소비자 부담 4) 모니터 해상도의 차이로 색상이나 이미지가 다른 경우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 및 환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
교환 및 환불 불가 |
1) 신청기한이 지난 경우 2) 소비자의 과실로 인해 상품 및 구성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없어지거나 훼손, 오염되었을 경우 3) 개봉하여 이미 섭취하였거나 사용(착용 및 설치 포함)해 상품 및 구성품의 가치가 손상된 경우 4) 시간이 경과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5) 상세정보 또는 사용설명서에 안내된 주의사항 및 보관방법을 지키지 않은 경우 6) 사전예약 또는 주문제작으로 통해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상품이 이미 제작진행된 경우 7)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8) 맛, 향, 색 등 단순 기호차이에 의한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