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안내 및 환불, 교환, 배송문의 | |
- 가게 전화번호 : | 1544-1900 |
- 전화문의 시간 :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매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공휴일 제외) |
- 가게 이메일 : | ink@kyobobook.co.kr |
- 이용 택배회사 : | CJ대한통운 |
판매가게정보 |
|
- 사업자명 : | (주)교보문고 |
- 사업자등록번호 : | 102-81-11670 |
- 통신판매업신고 : | 01-0653 |
- 현금영수증 : 발급가능 |
|
전화주문 및 결제문의 |
|
- 꽃피는 아침마을 : | 1644-8422 |
가게와 직거래를 하시면 꽃송이 적립 및 각종 혜택에서 제외되고, 만일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꽃마의 도움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가게의 부당한 요구, 불공정 행위 등에 대해서도 꽃마로 직접 전화주세요. |
상세정보 | 구매후기 (0) | 상품 Q&A (0) | 배송/교환/환불 안내 |
책소개2025년 03월 04일 출간 | ISBN : 1172611386 | 156쪽
상세이미지![]() 목차들어가며
1. 『반야심경』을 우리는 왜 알아야 할까
반야의 세계
무아설의 전통
대승의 길
관세음보살이 사리불에게 설법하다
2. 『반야심경』은 왜 만들어졌을까
『반야심경』의 출현
대본과 소본의 비교
대본과 소본의 차이
제법자성공
반야바라밀다는 주문인가
3. 『반야심경』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색즉시공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무
구경열반
아뇩다라삼먁삼보리
4. 『반야심경』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실체 개념의 해체
불교 지성의 회복
이타자리의 삶
『반야심경』과 나
대승불교의 목적
부록 1: 직역으로 읽는 현장 역 『반야심경』
부록 2: 의역으로 읽는 현장 역 『반야심경』
책속으로「반야심경」의 핵심 개념인 반야바라밀다는 ‘제법자성공’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뜻하는 것으로, 이것은 초기불교 이래로 이어진 연기-무아의 가르침을 잇는 대승불교의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 p.9
종교로서 불교가 갖는 특징은 신과 같은 절대적인 존재에 의지하지 않고 인간 내면의 정신 세계를 바라본다는 점입니다. 「반야심경」의 공은 인간 내면에 자칫하면 자리 잡기 쉬운 신과 같은 실체적 개념을 분명히 알고 해체시키는 것이며, 반야바라밀다는 이 공을 아는 것입니다. 반야바라밀다로서의 공성(空性)을 통찰함으로써 인간 내면의 순수한 정신적 성품을 확인하고 붓다와 같은 인격성을 갖고자 하는 것, 이것이 바로 「반야심경」에서 강조하는 대승불교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23 대승불교는 변치 않는 자성이라는 속성을 갖는 법의 개념 대신, 끊임없이 변하면서 서로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법의 개념을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법을 ‘자성이 없다’는 의미에서 ‘공’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대승불교의 이러한 입장은 초기불교 이래로 이어져온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은 없다고 하는 연기-무아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랐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p.33 이 반야바라밀다의 경계 속에서 통찰된 지혜의 경계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현실 속을 살아가야 하는 보살들에게 정신적 지침이 되어줍니다. 달리 말해, 지혜의 눈으로 본 세상에 대한 이해가 삶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의 토대가 됩니다. - p.34 불교는 붓다 당시의 종교였던 바라문교와는 전혀 다른 종교적 입장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무아설(無我說)입니다. 불교는 바라문교를 비롯한 대다수의 인도 종교에서 인정했던 유아설(有我說)의 핵심 개념인 아뜨만을 인정하지 않았고, 오히려 아뜨만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그것이 바로 무아설입니다. - p.61 「반야심경」이 색이란 실체가 없는 공이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의 삶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변해갑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변해가는 현상을 변치 않는 개념으로 분석하고 판단하고 이해합니다. 한마디로 말해 우리는 우리의 삶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채로, 즉 현상의 진정한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 pp.88-89 불교는 인간이 경험하는 세계를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세계라기보다는 경험된 세계라고 봅니다. 따라서 그러한 경험을 만드는 기반이 되는 감각 기관, 감각 기능, 감각 대상을 분석함으로써 이 세계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십팔계에서 보듯, 불교는 이러한 관점에서의 세계 분석을 정치하게 수행합니다. 세계에 대한 불교의 설명은 종교적 태도에만 입각한 것이 아니라 과학적 태도에도 입각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p.103 실체적 관념에서 철저하게 벗어나게 될 때, 즉 공성을 체득하게 될 때 우리는 인간이라는 존재를 새롭게 이해하게 됩니다. 이때 우리는 자유를 경험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자유란 신과 같은 절대적 존재에 대해서는 물론, 우리 삶의 일체 개별적인 요소들에 대해서도 얽매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해탈이란 바로 이러한 자유의 경험을 말합니다. - p.126 출판사 서평「반야심경」, 260자로 압축된 대승불교의 진수
반야경은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경전이다. 그런데 ‘반야경’은 하나의 경전에 대한 명칭이 아니다. 반야경은 소품(小品)으로 분류되는 「도행반야경」, 「팔천송반야경」 등과 대품(大品)으로 분류되는 「방광반야경」, 「대품반야경」 등 여러 ‘반야경’들에 대한 통칭이며, 이 경전들은 기원전 100년경에서 기원 후 1200년경에 이르는 긴 시기에 걸쳐서 저마다 성립되었다.
「반야심경」은 이러한 반야경의 핵심 사상을 요약한 경전으로, 한역본(漢譯本)으로는 소본(小本) 2종과 대본(大本) 5종이 있다. 이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반야심경」은 소본으로 분류되는 현장 역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대승불교의 심오한 진수를 불과 260자의 한자로 압축해놓은 현장 역 「반야심경」은 그야말로 한국 불자의 삶과 함께하는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어떤 것도 실체로 받아들이지 말라
「반야심경」은 불교의 모든 경전 가운데 가장 짧고도 익숙한 경전이지만 막상 읽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일단 일반인의 눈에는 「반야심경」의 간단한 내용을 구성하는 진술들 하나하나가 암호처럼 느껴지기 십상이다. 물론 불교에 관심을 가진 이라면 그 암호들을 불교의 기본 개념들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분석 결과를 해석하는 것은 더욱 넘기 힘든 난관으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반야사상의 귄위자인 이태승 전 위덕대 불교문화학과 교수가 집필한 「인문학 독자를 위한 반야심경」은 이런 「반야심경」의 세계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는 너무도 유명한 말은 무슨 뜻인가? “색(色)이 곧 공(空)이다”라고 풀이하는 정도는 어렵지 않지만, “색이 곧 공이다”라는 진술이 실제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아니, 그 이전에 불교에서 자주 이야기하는 ‘공’이라는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공은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는 실체적 개념을 해체하는 것이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반야심경」은 이 부분을 이리저리 뜯어보며 설명한다. 「반야심경」 가운데 언급되는 오온, 십이처, 십팔계, 십이연기, 사제와 같은 불교의 기본 개념들을 간명하게 짚어보는 것은 물론, 일반인에게는 낯선 지혜륜 역 대본(大本) 「반야심경」과의 교차 검토까지 진행하며 공에 대해 살펴본다. 불교의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불교를 배태한 더 넓은 지적 차원인 인도철학의 맥락에서도 공을 다루는 접근법 역시 이 책의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이를 통해 이 책은 대승불교의 핵심인 공을 선명하게 이해시켜준다.
대자유의 세계를 향해
불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단순히 공 자체가 아니다. 불교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새로운 삶의 길이며, 공은 그 새로운 삶이 어떤 것이고 어떻게 그것이 가능한지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반야심경」 역시 이 부분에 주목한다. 이 책은 공성(空性)의 체득, 즉 반야바라밀다에 대한 설명을 디딤돌 삼아, 나와 남의 구별이 신기루 같이 사라지는 대자유의 경지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모델에 따라 살아갈 때 우리는 지혜롭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며, 스스로를 구원하고 궁극적으로는 세상을 구원할 수 있을 것이다.
“신이든 사물이든 ‘나’이든, 모든 것이 연기된 것일 뿐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면 그 모든 것들 사이의 구분 역시 존재하지 않음을 알게 됩니다. 그 결과 우리는 우리의 주변과 더욱 합일하게 되고 나아가 우리 자신이 자연과 하나임을 깨닫게 됩니다.” (본문 중에서) |
교환 및 환불 가능 |
상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
1) 상품이 표시/광고된 내용과 다르거나 불량(부패, 변질, 파손, 표기오류, 이물혼입, 중량미달)이 발생한 경우 -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 수령일 다음날까지 신청 - 기타 상품 : 수령일로부터 30일 이내, 그 사실을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2) 교환 및 환불신청 시 판매자는 상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품의 문제 정도에 따라 재배송, 일부환불, 전체환불이 진행됩니다. 반품에 따른 비용은 판매자 부담이며 환불은 반품도착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완료됩니다. |
단순변심 및 주문착오의 경우 |
1)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재판매가 어려운 상품의 특성상, 교환 및 환불이 어렵습니다. 2) 화장품 피부 트러블 발생 시 전문의 진단서 및 소견서를 제출하시면 환불 가능합니다. 이 경우 제반비용은 소비자 부담이며, 배송비는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해당 화장품과 피부 트러블과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또는 질환치료 목적의 경우에는 진단서 발급비용을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3) 기타 상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신청, 왕복배송비는 소비자 부담 4) 모니터 해상도의 차이로 색상이나 이미지가 다른 경우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 및 환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
교환 및 환불 불가 |
1) 신청기한이 지난 경우 2) 소비자의 과실로 인해 상품 및 구성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없어지거나 훼손, 오염되었을 경우 3) 개봉하여 이미 섭취하였거나 사용(착용 및 설치 포함)해 상품 및 구성품의 가치가 손상된 경우 4) 시간이 경과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5) 상세정보 또는 사용설명서에 안내된 주의사항 및 보관방법을 지키지 않은 경우 6) 사전예약 또는 주문제작으로 통해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상품이 이미 제작진행된 경우 7)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8) 맛, 향, 색 등 단순 기호차이에 의한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