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미국 의회기록컬렉션 관리 매뉴얼(한국기록전문가협회 번역총서 1)
구매후기 0
ㆍ도서정보 저자 : 신시아 피스 밀러
출판사 : 선인
2019년 10월 31일 출간  |  ISBN : 1160683034  |  216쪽  |  규격外  |  1판
ㆍ교보회원 교보문고 ID 연결하기
도서를 구입하시면 교보문고와 꽃마의 회원혜택을 함께
받으실 수 있습니다.
ㆍ꽃마가 15,000원 13,500원 10%
ㆍ추가혜택 꽃 2송이
꽃송이지갑 만들기>
꽃송이 적립을 위해서 '꽃송이지갑'을 만드셔야 합니다.
ㆍ배송지역 국내
ㆍ배송비
조건부무료배송
  • 이 가게의 무료배송 상품을 함께 주문하거나, 총주문금액이 15,000원 이상이면 무료배송.
  • 15,000원 미만이면 배송비 2,500원 고객부담
  • 도서산간/제주도는 추가운임비 부과될 수 있음
1일 이내 출고
ㆍ수량
총 합계금액  
선물
장바구니 담기
바로 구매하기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장바구니를 확인 하시겠습니까?

쇼핑계속하기
장바구니보기
ㆍ이 가게의 다른 상품 모든상품보기+
16,800원
15,120원 10%↓
21,000원
18,900원 10%↓
13,000원
11,700원 10%↓
15,000원
13,500원 10%↓
꿈을 피우는 세상, 인터넷 교보문고입니다.
꿈을 피우는 세상, 인터넷 교보문고입니다.
가게주인 : 교보문고
전화 및 택배정보
전화 및 택배정보
상품 안내 및 환불, 교환, 배송문의
- 가게 전화번호 : 1544-1900
- 전화문의 시간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매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공휴일 제외)
- 가게 이메일 : ink@kyobobook.co.kr
- 이용 택배회사 : CJ대한통운
판매가게정보
- 사업자명 : (주)교보문고
- 사업자등록번호 : 102-81-11670
- 통신판매업신고 : 01-0653
- 현금영수증 : 발급가능
전화주문 및 결제문의
- 꽃피는 아침마을 : 1644-8422
가게와 직거래를 하시면 꽃송이 적립 및 각종 혜택에서
제외되고, 만일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꽃마의
도움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가게의 부당한 요구,
불공정 행위 등에 대해서도 꽃마로 직접 전화주세요.
 이야기꽃밭
등록된 이야기가 없습니다.
상세정보 구매후기 (0) 상품 Q&A (0) 배송/교환/환불 안내

책소개

미국 하원의 역사학자였으며, 하원 의원실을 위한 기록물 처분지침의 개발자이기도 한 신시아 피스 밀러가 미국 아키비스트협회(SAA)의 지원으로 출판한 책. 의회기록관리의 기본지침과 실무, 그리고 의회기록의 특성과 현안문제들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책의 내용은 의회기록물 관리실무자를 위한 것이지만, 역사학자 출신의 저자가 “의회의 공식기록을 보완하고 민주적인 절차를 위한 투명성의 지표(beacon)”로 평가하는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공공기록물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의원들의 개인기록 및 관련 기록컬렉션-넓은 의미에서 ‘의회기록컬렉션(congressional collections)’이라 한다-은 매우 귀중하지만 때로는 발굴되지 않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컬렉션은 선거구나 주(state), 그리고 연방정부와 국민 간의 관계로 이루어지는 연방 체제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의회기록컬렉션은 민주주의의 근본 원칙인 연방정부 산하기관들 간의 권력 분립을 투영하고 있다. 학자들은 국가적 중대사뿐만 아니라 지역이 입법현안 및 입법자를 연구하는 배경과 심도가 되는 자료로서의 의회기록을 필요로 한다. 의원 개인기록은 또한 의원들 간의 관계, 당 내ㆍ외부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유권자와의 대의제 민주주의적인 관계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저자 : 신시아 피스 밀러 (Cynthia Pease Miller) 신시아 피스 밀러는 1983년에서 1999년까지 미국 하원의 역사학자였으며, 하원 의원실을 위한 기록물 처분지침의 개발자이기도 하다. 또한 ?미국 전직 하원의원 기록물 연구 가이드?를 편찬하여 상을 받기도 했다. 한편, 세 명의 상원의원과 상원 위원회의 아키비스트 참모로 근무했으며, 미국 아키비스트협회(SAA) 의회기록원탁회의 창립 멤버로도 활동하는 등 이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역자 : 국회도서관 아카이브연구회 2010년 국회기록관리연구회로 시작하여 2018년 아카이브연구회로 명칭을 변경한 국회도서관 직원연구회로, 해외의 의회기록관리 관련 주요 출판물에 대한 번역과 강독을 통하여 선진적인 기록관리 제도ㆍ원칙ㆍ방법론 등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관련 분야와 공유함으로써 의회 및 정치기록관리의 이론과 실무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장환 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관 ㆍ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정보학박사 박성진 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사 ㆍ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 수료 박춘자 ㆍ 국회도서관 전자정보제작과장 ㆍ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석사 수료 서연주 ㆍ 국회도서관 전자정보정책과 서기관 ㆍ 숭실대학교 컴퓨터공학박사 ㆍ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수료 송지형 ㆍ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 학예연구사 ㆍ 前 국회도서관 사서사무관 ㆍ 서울대학교 기록관리학석사 장영미 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사 ㆍ 충북대학교 사학과 박사 수료 여상아 ㆍ 국회도서관 자료수집과 전문경력관 ㆍ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ㆍ기록관리학 박사 수료 이미경 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정책과장 ㆍ 이화여자대학교 기록관리학 박사과정 이원영 ㆍ 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관 ㆍ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박사 ㆍ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수료 이은별 ㆍ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사서 ㆍ 명지대학교 기록관리대학원 석사 한종희 ㆍ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총괄과 사서 ㆍ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수료 감수 : 한국기록전문가협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는 2010년 출범하여 기록인의 사명을 정립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록전문가의 커뮤니티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록관리 분야의 교육 및 연구, 교류와 협력을 통해 소통에 노력하며, 기록전문가의 권익보호와 직업윤리의 신장을 통해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기록관리 부문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목차

역자 서문 5 감사의 말 7 들어가며 17 1. 의회기록의 중요성 18 2. 의회기록컬렉션 표준의 역사적 배경 20 3. 의회기록컬렉션의 도전 과제 23 제1장 권유 또는 기증으로 의회기록컬렉션 수집하기 29 1. 의회기록컬렉션 수집 기준 30 ■ 국가적 또는 국제적 현장에서의 의원의 업적 31 ■ 의원과 선거구 간의 관계 32 ■ 내용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33 ■ 관리 능력(manage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35 2. 의회기록보존소 모델 37 ■ 관리 기준 38 ■ 기록보존소를 위한 체크리스트 모델 40 ■ 기증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모델 42 제2장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47 1. 비용, 공간, 인력, 예산의 산출 48 ■ 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50 2. 지속가능성과 외부 기금원 51 ■ 기금 옵션 51 3. 수집 54 ■ 기관의 책임 55 ■ 초기 작업 55 ■ 의원의 편익 56 ■ 기록보존소의 편익 57 4. 접근(ACCESS) 58 ■ 일반적인 접근제한 61 5. 기증서 63 ■ 기증서의 필수 구성요소 65 6. 위탁증서 72 7. 대출 74 8. 구술기록 75 9. 기증자와의 관계 유지 77 제3장 기록의 이관 79 1. 이관 계획 수립 80 ■ 수집기록 이관 계획 수립을 위한 일정표 82 ■ 갑작스러운 이관 계획 85 ■ 의원실 방문 목적 86 ■ 기록보존소에서의 준비 과제 88 ■ 이관 시 유의사항 89 2. 비용절감 전략 91 3. 전자기록 94 ■ 의원실에 필요한 질문 목록 94 4. 박물류와 기념품류 97 제4장 의회기록컬렉션의 업무 처리 101 1. 업무 처리(processing) 계획 수립 102 ■ 전체 예산과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인가? 103 ■ 업무 처리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104 ■ 컬렉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가? 104 ■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경과 보고를 할 것인가? 105 2. 컬렉션의 물리적 통제 106 ■ 초기 단계 106 ■ 특수 자료 취급 지침 108 3. 업무 처리 과정 112 ■ 컬렉션을 언제 처리하는가? 112 ■ 업무 처리 수준 113 ■ 표본 추출 117 4. 평가 결정 117 ■ 의원의 개인적, 정치적 기록들 118 ■ 입법 관련 기록 119 ■ 선거구 활동 120 ■ 언론 및 미디어 활동 120 ■ 행정 기록철 121 5. 평가 결정을 위한 속성 점검사항 목록 122 6. 비밀분류, 비밀해제, 재분류 123 제5장 참고서비스와 확장서비스 125 1. 기술 실무(description practice)와 접근 도구 126 ■ 관리 정보에 대한 검색 도구 127 ■ 기술 정보에 관한 검색도구 128 ■ 컬렉션의 홍보 129 ■ 컬렉션의 등록(registering) 130 2. 참고서비스와 연구지원 131 3. 전시와 확장서비스 132 ■ 전시 이슈 134 ■ 확장서비스 계획(initiatives) 135 부록 139 부록 A 의회기록컬렉션 관리의 발전 연표 140 부록 B 전문 네트워크와 지원 148 부록 C 기증서 예시 152 부록 D 의원실 보좌직원 목록 155 부록 E 기록철 처분(disposition)을 위한 지침 160 부록 F 자주 묻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FAQs) 185 부록 G 참고문헌: 선별 목록 196 부록 H 제110차 미 의회 2회기 206
구매후기 구매만족도
이 상품에 대한 구매후기는 구매하신 분에 한해 '주문/배송조회'에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작성된 구매후기가 없습니다.
    상품Q&A
    상품에 관한 궁금하신 사항을 물어보세요!
    글쓰기
    글쓰기
      배송/교환/환불 안내
      배송안내
      - 주문금액이 15,000원 이상인 경우 무료배송, 15,000 미만인 경우 배송비 2,500원이 부과됩니다. (단, 무료배송 상품의 경우 제외)
      - 주문 후 배송지역에 따라 국내 일반지역은 근무일(월-금) 기준 1일내 출고됨을 원칙으로 하나, 기상상황 등의 이유로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단, 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배송되지 않습니다.)
      - 도서 산간 지역 및 제주도의 경우는 항공/도선 추가운임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해외지역으로는 배송되지 않습니다.
      교환/환불 안내
      - 상품의 특성에 따른 구체적인 교환 및 환불기준은 각 상품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교환 및 환불신청은 가게 연락처로 전화 또는 이메일로 연락주시면 최선을 다해 신속히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교환 및 환불 가능 상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1) 상품이 표시/광고된 내용과 다르거나 불량(부패, 변질, 파손, 표기오류, 이물혼입, 중량미달)이 발생한 경우
      -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 수령일 다음날까지 신청
      - 기타 상품 : 수령일로부터 30일 이내, 그 사실을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2) 교환 및 환불신청 시 판매자는 상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품의 문제 정도에 따라 재배송, 일부환불, 전체환불이 진행됩니다. 반품에 따른 비용은 판매자 부담이며 환불은 반품도착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3일 이내에 완료됩니다.
      단순변심 및
      주문착오의 경우
      1)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재판매가 어려운 상품의 특성상, 교환 및 환불이 어렵습니다.
      2) 화장품
      피부 트러블 발생 시 전문의 진단서 및 소견서를 제출하시면 환불 가능합니다. 이 경우 제반비용은 소비자 부담이며, 배송비는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해당 화장품과 피부 트러블과의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경우 또는 질환치료 목적의 경우에는 진단서 발급비용을 판매자가 부담합니다.
      3) 기타 상품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신청, 왕복배송비는 소비자 부담
      4) 모니터 해상도의 차이로 색상이나 이미지가 다른 경우 단순변심에 의한 교환 및 환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환불 불가 1) 신청기한이 지난 경우
      2) 소비자의 과실로 인해 상품 및 구성품의 전체 또는 일부가 없어지거나 훼손, 오염되었을 경우
      3) 개봉하여 이미 섭취하였거나 사용(착용 및 설치 포함)해 상품 및 구성품의 가치가 손상된 경우
      4) 시간이 경과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5) 상세정보 또는 사용설명서에 안내된 주의사항 및 보관방법을 지키지 않은 경우
      6) 사전예약 또는 주문제작으로 통해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상품이 이미 제작진행된 경우
      7)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8) 맛, 향, 색 등 단순 기호차이에 의한 경우